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광주광역시 2025년 달라진 결혼 · 임신 · 가족 정책 한눈에 보기

by 티머니스 2025. 4. 21.

광주광역시 2025년 달라지는 결혼·임신·가족 정책 한눈에 보기🔎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2025년부터 달라지는 결혼·임신·출산·돌봄·청소년·가족 관련 제도와 정책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광주광역시 시청 바로가기

 

💒 결혼

정책 내용
(신규) 결혼세액공제 부부 각각 50만원 공제 (생애 1회, 초혼·재혼 모두 해당)
‘24.1.1~’26.12.31 혼인신고분까지 한시 적용
(신규) 광주시청 야외결혼식장 ‘빛의 정원’ 대관
토·일·공휴일 무료 대관, 실비 수준 사용료
주차장·화장실 개방, 집기 등 편의 제공

🍼 임신

정책 변경 내용
난임치료휴가 연 3일(유급 1일) → 연 6일(유급 2일)
중소기업은 유급 2일 급여 지원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12주 이내, 36주 이후 → 12주 이내, 32주 이후부터 사용 가능
고위험 임신부는 임신 전기간 사용 가능

👶🏻 출산

  • 출산전후 휴가: 미숙아 출산 시 90일 → 100일
  • 출산휴가 신청 시: 육아휴직 동시 신청 가능
  •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 20일 / 90일 → 120일 내 사용 / 중소기업 급여지원 20일까지 확대
  • (신규) 출생가정 축하 광주상생카드: 출생아 1인당 50만 원(광주 3개월 이상 거주 가정)
  • 출산지원금 비과세: 출산일 2년 이내 지급금 비과세 (최대 2회)
  • 자녀세액공제 확대:
    자녀 순번 공제액
    첫째 25만 원
    둘째 30만 원
    셋째 이상 인당 40만 원

👧🏻 돌봄

  • 육아휴직: 부모 각각 1년 → 1년 6개월
    최대 월 450만 원까지 급여 지급(월별 차등)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기한 2년 → 3년
  • 초등학부모 10시 출근제: 장려금 월 40만 원 (2개월)
  • (신규) 대체인력 인센티브: 출산·육아 대체근로자 인센티브 최대 200만 원
  • (신규) 소상공인 육아응원패키지:
    - 아이돌봄 이용료 최대 360만 원
    - 1인 여성 자영업자 대체 인건비 최대 300만 원
  • 아이돌봄서비스: 중위소득 기준 상향(150% → 200%)
  • (신규) 영유아 발달컨설팅: 3세 아동 대상 조기발견 및 연계 지원
  • (신규) 누리과정보육료 추가지원: 4~5세 월 5만 원 추가지원
  • 유연근무 장려금: 월 최대 60만 원
  • 임산부 직장맘 고용유지지원금: 100인 미만 사업장 대상 월 100만 원 X 4개월
  • 대체인력지원금 : 월 120만원
  • 동료업무분담 지원금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육아휴직시까지 확대(월 20만 원)

📕 청소년

  • 청소년한부모 양육비: 2세 이상 자녀 월 37만 원
  • 가정위탁아동 양육비:
    - 7세 미만: 36만 원
    - 7세~13세 미만: 40만 원
    - 13세 이상: 45만 원
  • 결식아동 급식지원: 1식 단가 9,000원 → 9,500원
  •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연 최대 16만 8천 원 지원(바우처)
  • 쉼터 퇴소 청소년 자립수당: 월 40만 원 → 50만 원(최대 5년)
  • (신규) 고립·은둔청소년 지원: 원스톱 검사·상담·연계 패키지 지원

👨🏻‍👩🏻‍👧🏻‍👦🏻 가족

  • 새일여성 인턴지원금: 총 380만 원 → 총 460만 원
  • 성폭력 보호시설 퇴소자:
    - 자립정착금: 500만 원 → 1,000만 원
    - 자립수당: 월 50만 원
  • 한부모가족 지원:
    - 아동양육비: 월 23만 원
    - 학용품비: 초·중·고 자녀까지 확대
  • (신규) 양육비 선지급제:
    - 양육비 미수령 가정(중위소득 150% 이하)
    -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만 18세까지 지급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청 정보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광주광역시시청 바로가기

 

광주광역시청

내일이 빛나는 기회도시 광주의 시정뉴스, 시민참여, 분야별 정보 안내

www.gwangj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