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검정고시 접수번호와 교육청코드 확인법 총정리 (2026학년도 대입 준비 필수 정보)

by 티머니스 2025. 5. 23.
반응형

검정고시 접수번호와 교육청코드 확인법 총정리 (2026학년도 대입 준비 필수 정보)

대학 원서에 꼭 써야 하는 '접수번호'와 '시도교육청코드', 여기서 모두 해결하세요

검정고시 합격자용 대학 원서 접수 정보, 어디서 확인하나요?


대입 원서를 작성하다 보면
검정고시 합격자의 경우 추가로 입력해야 하는 정보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제공동의 확인번호(접수번호)시도교육청코드입니다.
이 정보들은 따로 찾기 어렵고, 헷갈리기 쉽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모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대학 원서 접수 시 필요한 정보 확인 방법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를 신청한 이후,
대학 원서 접수에서 가장 먼저 마주치는 항목이 바로 접수번호입니다.

이 접수번호는
나이스 검정고시 사이트 → 제출현황 조회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표시되는 "제공동의 확인번호"가
바로 대학 원서에 입력해야 할 접수번호입니다.

주의하실 점은
이 번호는 수시전형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정시전형에서는 별도로 다시 신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도교육청코드, 제대로 입력하고 계신가요?

 

또 하나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 바로 시도교육청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본인의 검정고시 합격 지역 교육청을 나타내는 고유 번호로
대학 측이 자료를 받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교육청에서 합격하셨다면
원서에는 J100000001을 입력해야 합니다.

각 시도마다 고유 코드가 다르므로
반드시 나이스 시스템 내에서 제공하는 교육청 코드를 확인한 뒤
정확하게 입력해 주세요.


접수번호와 코드,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

 

접수번호와 교육청코드는
대학이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를 불러올 수 있도록
자료 제출 시스템과 연동되는 필수 식별 정보입니다.

이 정보가 잘못 입력되면
자료 누락, 서류 미비로 간주되어
합격이 취소되는 최악의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으니
꼭 꼼꼼히 확인 후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핵심 정보 요약표

항목 내용

접수번호 제출현황 조회 메뉴에서 확인 (제공동의 확인번호)
사용 가능 시기 수시전형만 사용 가능, 정시는 재신청 필요
시도교육청코드 각 지역 고유 코드 입력 필요 (예: 경기 J100000001)

대학에 제출된 자료, 어디서 수신 여부 확인할까?

접수번호와 교육청코드를 정확히 입력하셨다면
이제 마지막 단계, 대학이 내 자료를 제대로 수신했는지 확인해야 할 차례입니다.
제출한 자료가 어느 대학에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대학에 제대로 제출되었는지 확인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 대학에 제대로 제출되었는지 확인하는 마지막 단계

접수 끝났다고 안심은 금물! 자료 수신 여부까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이유자료 신청 후, 대학이 내 서류를 수신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를 온라인으로 신청했다

diamondmoneys.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