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원서에 꼭 써야 하는 '접수번호'와 '시도교육청코드', 여기서 모두 해결하세요
검정고시 합격자용 대학 원서 접수 정보, 어디서 확인하나요?
대입 원서를 작성하다 보면
검정고시 합격자의 경우 추가로 입력해야 하는 정보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제공동의 확인번호(접수번호)와 시도교육청코드입니다.
이 정보들은 따로 찾기 어렵고, 헷갈리기 쉽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모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대학 원서 접수 시 필요한 정보 확인 방법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를 신청한 이후,
대학 원서 접수에서 가장 먼저 마주치는 항목이 바로 접수번호입니다.
이 접수번호는
나이스 검정고시 사이트 → 제출현황 조회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표시되는 "제공동의 확인번호"가
바로 대학 원서에 입력해야 할 접수번호입니다.
주의하실 점은
이 번호는 수시전형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정시전형에서는 별도로 다시 신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도교육청코드, 제대로 입력하고 계신가요?
또 하나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 바로 시도교육청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본인의 검정고시 합격 지역 교육청을 나타내는 고유 번호로
대학 측이 자료를 받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교육청에서 합격하셨다면
원서에는 J100000001을 입력해야 합니다.
각 시도마다 고유 코드가 다르므로
반드시 나이스 시스템 내에서 제공하는 교육청 코드를 확인한 뒤
정확하게 입력해 주세요.
접수번호와 코드,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
접수번호와 교육청코드는
대학이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를 불러올 수 있도록
자료 제출 시스템과 연동되는 필수 식별 정보입니다.
이 정보가 잘못 입력되면
자료 누락, 서류 미비로 간주되어
합격이 취소되는 최악의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으니
꼭 꼼꼼히 확인 후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핵심 정보 요약표
항목 내용
접수번호 | 제출현황 조회 메뉴에서 확인 (제공동의 확인번호) |
사용 가능 시기 | 수시전형만 사용 가능, 정시는 재신청 필요 |
시도교육청코드 | 각 지역 고유 코드 입력 필요 (예: 경기 J100000001) |
대학에 제출된 자료, 어디서 수신 여부 확인할까?
접수번호와 교육청코드를 정확히 입력하셨다면
이제 마지막 단계, 대학이 내 자료를 제대로 수신했는지 확인해야 할 차례입니다.
제출한 자료가 어느 대학에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 대학에 제대로 제출되었는지 확인하는 마지막 단계
접수 끝났다고 안심은 금물! 자료 수신 여부까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이유자료 신청 후, 대학이 내 서류를 수신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를 온라인으로 신청했다
diamondmoneys.com
'일상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가 아플 때, 응급실 대신 달빛어린이병원이 더 나은 이유 (0) | 2025.05.24 |
---|---|
2026학년도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 온라인 신청방법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 (0) | 2025.05.23 |
늦은 밤과 휴일에도 아이들을 지키는 대구 달빛어린이병원 (0) | 2025.05.23 |
부산에서 응급실 대신 찾는 달빛어린이병원 안내 (0) | 2025.05.22 |
늦은 밤 아이가 아프다면? 서울 달빛어린이병원 이용 가이드 (0) | 2025.05.21 |